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15

'사랑'이 그리운 날엔 기차를 타라 5 2024. 11. 28.
'사랑'이 그리운 날엔 기차를 타라 4 ‘사랑’이 그리운 날엔 기차를 타라 4 4. 심포리 기찻길(4) - 영동선에 잠들다 김민정(시조시인, 한국문인협회부이사장) 대바위산 가물가물 / 아지랑이 피워내면두메산골 심포에도 / 봄은 다시 찾아오고건널목 / 오랍뜰에는 / 옥수수와 감자 심고 호랑나비 떼 지으며 / 그리움을 피워내면올망졸망 육남매를 / 꽃 가꾸듯 가꾸면서깊은 산 / 곤드레 나물 / 봄 한 철이 깊었네 -「건널목을 지키며-영동선의 긴 봄날 20」 전문대바위산 사진: 김진수 뒷줄 오른쪽에서 세 번째 철도복을 입은 분이 아버지, 앞줄 오른쪽이 어머니   아버지가 선로반에 들어가 일을 시작한 것은 만주 이민을 다녀오시고 난 후의 일이라 생각되지만, 몇 년도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그렇게 철로를 놓는 일부터 시작하여 철로를 돌보는 일을 하면서 선.. 2024. 11. 28.
'사랑'이 그리운 날엔 기차를 타라 3 ‘사랑’이 그리운 날엔 기차를 타라 3 1. 심포리 기찻길(3) - 강삭철도(鋼索鐵道,Cable-Railway) 김민정(시조시인, 한국문인협회부이사장)  영동선(嶺東線)은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 영주역에서 강원도 강릉시 교동의 강릉역을 잇는 총길이 193.6㎞인 산업철도이다. 1963년 5월 17일 기존의 영암선(영주~철암 간 86.4㎞)·철암선(철암~묵호 간 60.5㎞)·황지본선(통리~심포리 간 8.5㎞)·동해북부선(묵호~강릉 간 44.6㎞)을 하나로 합쳐 영동선이라 개칭했다. 1933년 5월 삼척~북평 간 23㎞가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1940년 8월에 묵호~도계 간, 1951년 10월 도계~철암 간, 1955년 12월 영암선, 1962년 11월 동해북부선이 개통됨으로써 전구간이 연결되었다. 영동선은.. 2024. 11. 28.
'사랑'이 그리운 날엔 기차를 타라 2 ‘사랑’이 그리운 날엔 기차를 타라 2 1. 심포리 기찻길 (2) - 스위치백(switch back) 철로  김민정(시조시인, 한국문인협회부이사장) 가끔은 묻고 싶은 / 지그재그 인생길이곳에 와서 보면 / 그 이치를 알게 된다영동선 / 기찻길에도 / 지그재그 있다는 걸 가끔은 묻고 싶은 / 가도 가도 숨찬 인생이곳에 와서 보면 / 그 이치를 알게 된다때로는 / 바람도 숨찬 / 언덕길이 있다는 걸 -「지그재그(스위치백) 철로-영동선의 긴 봄날 46」 전문 스위치백(switch back) 철로(흥전역에서 심포리역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 한국철도공사  시조집『영동선의 긴 봄날』 46~50 부분의 내용은 지그재그 철로인 도계역, 나한정역, 흥전역, 심포역 사이의 모습을 노래한 것이다. 삼척시 심포리와.. 2024.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