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15 강원시조 39집 발간 축사 《강원시조》39집 발간, 축하합니다! 김민정(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겸 상임이사) 《강원시조》의 39회 발간을 축하드립니다. 세월이 빠르다는 생각을 하면서 또 1년이 훌쩍 지났음을 실감합니다. 요즘 강원시조에서는 김양수회장님의 부지런하고 활발한 활동으로 디카시조가 많은 호응을 얻는 듯합니다.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하는데, 김양수 회장님은 또 하나의 길을 만들며 많은 사람들이 그 길을 가도록 이끌고 있습니다. 고마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요즘 전국적으로 시조가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시조창작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 같아 흐뭇하고 뿌듯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강원도에서 좋은 시조를 쓰는 시조시인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한국문인협회는 전국적으로 16,000여명의 회원들이 활동.. 2024. 8. 10. 수석에서 보석을 캐다 / 정태종 수석시조집 해설 정태종 수석시조집 해설> 내면의 아름다움까지 추구한 수석시조집 김민정(시조시인, 한국문인협회부이사장) 1. 청송 화문석 수석에서 찾아낸 수석 노래 청송의 꽃돌은 일단 겉으로 문양들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돌 속의 문양을 돌을 깎아 찾아내야 한다. 원석을 가공하여서 만드는 것이다. 그 돌 속에 어떤 문양이 들었는지 겉만 봐서는 알 수 없다. 돌을 깎아 보아야 문양이 확실하게 드러난다. 원석 속에 들어 있는 온갖 오묘한 문양들이 신기하고 아름답다. 자연석을 즐기는 사람들은 가공석을 수석이 아니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꽃돌은 일단 피부가 매끄럽고 문양 자체가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특히 꽃문양이 많아 화문석이라고 한다. 그래서 인기도 높은데, 정태종 시인은 화문석에다가 시조까지 곁들였.. 2024. 5. 25. 시 속에 등장하는 철도문학 시 속에 등장하는 철도문학 宇玄 김민정 1. 한국철도의 시작 한국철도는 1899년 9월 18일 경인선을 처음으로 개통했다. 경인선은 1896년(고종 33) 3월 29일 미국인 J.R.모스가 한국 정부로부터 부설권을 얻어, 1897년 3월 29일 인천 우각현(牛角峴)에서 공사에 착수하였으나 자금부족으로 중단하였다. 그후 일본인이 경영하는 경인철도회사(京仁鐵道會社)가 부설권을 인수하여 1899년 4월부터 다시 공사를 시작, 그 해 9월 18일 제물포(濟物浦:인천)∼노량진(鷺梁津) 사이의 33.2km를 개통하게 된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가 준공되자, 같은 해 7월 8일 노량진∼서울(당시의 서울역은 서대문으로 현재의 이화여고 자리) 사이가 개통되어 서울∼인천이 완전 연결되었다. 경영권은 철도를 부설한.. 2024. 4. 6. 사랑하는 별 하나 / 이성선, 2024. 03. 18 2024. 3. 31. 이전 1 2 3 4 5 6 7 8 ··· 6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