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르디푸른 연잎 보듬어 감싸 안은
찹쌀과 대추와 밤 그 깊은 천연의 맛
아까워
먹지 못하고 부처님만 만났네
중생의 어리석음 묻어나는 푸른 향기
살며시 베어 물면 오도독 씹히는 건
깊은 혼
가슴에 담은 삼천 년의 미소였네
詩 풀이
宇玄 김민정 |
또다시 연꽃이 피는 여름철이다. 흙탕물 속에서도 아름답게 피어나는 연꽃을 보면서 부처는 말없이 손끝으로 연꽃을 가리켰고, 제자 가섭은 역시 말없이 미소 지음으로써 서로의 마음을 전했다. 이 때문에 생겨난 이심전심(以心傳心)이라는 말, 마음과 마음으로 통하는 관계는 아름답다.
이 작품의 화자는 그 푸르디푸른 연잎으로 감싸며 정성껏 만든 찰밥인 연밥을 보면서 아까워 차마 먹지는 못하고, 부처님을 생각한다. 둘째 수에 오면 그 연잎에서는 중생의 어리석음이 묻어난다고 한다.
‘중생의 어리석음 묻어나는 푸른 향기/살며시 베어 물면 오도독 씹히는 건/ 깊은 혼/ 가슴에 담은 삼천 년의 미소였네’라고 표현하고 있어 마치 흙탕물 속에서도 맑게 피는 연꽃처럼, 그 어리석은 중생의 향기일망정, 살며시 베어 물면 깊은 혼 가슴에 담은 삼천 년의 미소를 만난다는 것이다.
모든 중생의 어리석음도 아름답게 받아들이며 미소 짓는 부처님의 자비로운 마음을 표현한 작품이라고도 볼 수 있다. 연밥 하나에서도 중생의 어리석음을 발견하고, 그럼에도 그것을 아름답게 받아들이는 시인의 넉넉한 마음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작품이다.
'詩가 있는 병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詩가 있는 병영 180 - 구월편지<정기영, 2011. 08. 29> (0) | 2011.08.28 |
---|---|
詩가 있는 병영 179 - 백련꽃 사설<윤금초, 2011. 08. 22> (0) | 2011.08.22 |
시가 있는 병영 177 - 탄광촌의 숨소리 <김민정, 2011. 08. 01> (0) | 2011.07.31 |
시가 있는 병영 176 - 책<박기섭, 2011. 07. 25> (0) | 2011.07.24 |
시가 있는 병영 175 - 피데기의 노래 <이옥진, 2011. 7. 18> (0) | 2011.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