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솔암 적요 宇玄 김민정 마애석불 홀로 앉은 도솔암 댓돌 위에 흰 고무신 한 켤레 누구를 기다리나 그리움 뒷짐지고서 눈만 내리 감은 날 |
대개 시조 양식이 노래하는 것은 격렬한 파열음이 아니라 완결성 있는 어떤 화음의 세계이다.
그 점에서 거칠고 가파르고 시끄러운 것보다는 부드럽고 완만하고 고요한 세계가 단연 시조 미학의
정수 권역으로 채택된다. 그래서인지 시인들은 '적요'혹은 '고요'의 세계를 즐겨 발견하고 구성한다.
이 때 시 안에 단정하게 들어앉아 있는 사물들은 소리를 내지 않고, 그것을 안으로 웅크린 채 고요하
게
출렁이고 있을 뿐이다. 마애석불
홀로 앉은
도솔암 댓돌 위에
흰 고무신 한 켤레 누구를 기다리나
그리움
뒷짐지고서
눈만 내리 감은 날 - 김민정 「도솔암 적요」전문, 『나래시조』(2007, 여름호)
마애석불만이 홀로 앉아 있는 도솔암 댓돌 위에는 소리 하나 없이 "흰 고무신 한 켤레"가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다. 아니 그냥 그저 그렇게 있을 뿐이다. 자태를 드러내고 있는 마애석불과
그저 한 켤레 신발로 은폐된 채 비유되고 있는 어떤 사람의 대조를 통해, 시인은 "그리움 /
뒷짐지고서 / 눈만 내리 감은 날"의 그 선명한 적요를 구성해낸다. 뭇 사물들은 숨죽인 채
그 적요에 모두 동참하고 있을 뿐이다. 그 순간 그 침묵을 비집고 뒷짐진 '그리움'은 소리를
철저하게 안으로 숨긴 채 침묵으로 역동하고 있는 것이다.
<유성호, '정형의 꽃'으로서의 단수 미학, 문학의 문학, 2007년 가을호(창간호)>
'김민정 시조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민정 시조론 - 바깥은 서늘하고 속은 뜨거운 시조 <정완영> (0) | 2009.01.24 |
---|---|
김민정 시조론 - 어버이에의 지정<정완영> (0) | 2009.01.24 |
김민정 시조론 - 이별의 정한과 그리움의 아픔 <신대주> (0) | 2009.01.24 |
김민정 시조론 - 시가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될을 아는 시인 <정완영> (0) | 2009.01.24 |
김민정 시조론 - 실경산수보다 아름다운 작품 <정완영> (0) | 2009.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