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민정 시조평

김민정 시조론 - 침묵의 역동<유성호>

by 시조시인 김민정 2009. 1. 24.
 
     
    도솔암 적요
    
                     宇玄 김민정
    
    마애석불 
    홀로 앉은
    도솔암 댓돌 위에 
    
    흰 고무신 한 켤레 누구를 기다리나 
    
    그리움 
    뒷짐지고서 
    눈만 내리 감은 날
    

 

                                                                배경음악: 사랑은 이유가 없어요

 
    대개 시조 양식이 노래하는 것은 격렬한 파열음이 아니라 완결성 있는 어떤 화음의 세계이다.
그 점에서 거칠고 가파르고 시끄러운 것보다는 부드럽고 완만하고 고요한 세계가 단연 시조 미학의
정수 권역으로 채택된다. 그래서인지 시인들은 '적요'혹은 '고요'의 세계를 즐겨 발견하고 구성한다.

이 때 시 안에 단정하게 들어앉아 있는 사물들은 소리를 내지 않고, 그것을 안으로 웅크린 채 고요하

출렁이고 있을 뿐이다.

 
  마애석불
 
  홀로 앉은
  도솔암 댓돌 위에
 
  흰 고무신 한 켤레 누구를 기다리나
 
  그리움
  뒷짐지고서
  눈만 내리 감은 날    - 김민정 「도솔암 적요」전문, 『나래시조』(2007, 여름호)
 
 
  마애석불만이 홀로 앉아 있는 도솔암 댓돌 위에는 소리 하나 없이 "흰 고무신 한 켤레"가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다. 아니 그냥 그저 그렇게 있을 뿐이다. 자태를 드러내고 있는 마애석불과
그저 한 켤레 신발로 은폐된 채 비유되고 있는 어떤 사람의 대조를 통해, 시인은 "그리움 /
뒷짐지고서 / 눈만 내리 감은 날"의 그 선명한 적요를 구성해낸다. 뭇 사물들은 숨죽인 채
그 적요에 모두 동참하고 있을 뿐이다. 그 순간 그 침묵을 비집고 뒷짐진 '그리움'은 소리를
철저하게 안으로 숨긴 채 침묵으로 역동하고 있는 것이다.
 

<유성호, '정형의 꽃'으로서의 단수 미학, 문학의 문학, 2007년 가을호(창간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