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詩가 있는 병영

마침표(이청화) - 시가 있는 병영 69

by 시조시인 김민정 2009. 5. 23.


 



 

 

 

 

2009년 05월 25일 국방일보
  
詩가 있는 병영 - 마침표 <이청화>
 

 

                       기차를 타면

                       한없이 가고 싶던

                       내 젊은 날은,

                       어느 간이역에서 몰래 내리고

                       더는 아무데도 가고 싶지 않은

                       무거운 몸이 되었구나.


                       낯선 곳의

                       어스름 노을 속에

                       항구의 밤불빛 속에,

                       먼 한 채의 집을 찾던 나의 유랑은

                       단풍나무 잎이 지는 가을의 종점

                       닳은 신발을 벗었으니,


                       연못아 

                       내 모습 비치는

                       거울 같은 연못아

                       여기, 날아간 바닷갈매기 그리고 있는 나는

                       어디로 가버린 것의 껍데기이냐

                       껍데기 비로소 벗어버린 알맹이이냐.



    작가는 1977년 <불교신문>신춘문예에 시조 「미소」로 당선. 1978년 <한국일보>신춘문예에 시조 「채석강 풍경」으로 당선.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장 역임. 현 청암사 주지스님.  시집: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수필집: 『돌을 꽃이라 부른다면』


    기차를 타면 한없이 가고 싶은 욕망은 아직은 젊기 때문에 생기는 것일까, 아니면 욕망이 강해서 생기는 것일까? 더 이상 욕망하지 않는 삶, 욕심을 벗어버린 삶을 화자는 ‘먼 한 채의 집을 찾던 나의 유랑은/ 단풍나무 잎이 지는 가을의 종점/ 닳은 신발을 벗었으니’라고 하여 나이 들어 젊은 날의 욕망을 벗어난 상태, 욕심을 벗어버린 해탈의 상태를 말하고 있다. 그러나 또한 화자는 그러한 자세가  ‘여기, 날아간 바닷갈매기 그리고 있는 나는/ 어디로 가버린 것의 껍데기이냐/ 껍데기 비로소 벗어버린 알맹이이냐.’고 다시 자신에게 묻고 있다.

 

댓글